파일 확장자 보기 - 표시 방법


운영체제의 기본 설정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기호에 맞게 세팅을 바꿔주면 됩니다. 물론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을 바꾸기 위한 절차들은 알아두어야 하는데 혹시 모니터에 띄워진 모든 자료의 포맷이 눈으로 확인이 될 수 있도록 세팅을 조절해두고 싶다면 간단한 절차만 기억을 해두면 되며 진행하는 절차는 아래쪽에 적어두었으니 읽고 그대로 적용하시면 충분히 파일 확장자 보기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서 표시를 해주는 절차가 조금씩 다른데 일단 8 이상부터 얘기를 하자면 아무런 폴더나 실행을 합니다. 그럼 폴더의 내용과 탐색기가 겹쳐진 화면이 띄워지게 되는데 좌측 상단을 보면 이번 글의 주제와 일치하는 탭이 바로 보일 것입니다. 물론 그 부분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우측을 보면 마찬가지로 체크 항목이 있으며 체크를 하는 동시에 모든 자료에는 포맷이 표시가 될 것입니다.



8 이상에서 확장자 설정 변경을 할 때 클릭을 해주어야 할 부분이나 체크를 해야 할 위치는 위에 이미지로 올려두었으니 확인하시고 작업을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7 이하를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다른 방법을 적용해야 하는데 처음 해주어야 할 일은 똑같습니다. 아무런 폴더를 실행하는 것이죠.



그리고 폴더 화면이 모니터에 띄워지면 화면 좌측 상단에 있는 구성 메뉴를 클릭하고 드롭다운 항목에서 [폴더 및 검색 옵션]을 클릭합니다. 이어서 옵션 화면이 뜨면 상단의 보기 탭을 누르고 [알려진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 항목을 찾아서 체크를 없애주면 됩니다. 물론 마지막에는 확인을 눌러서 변경한 내용을 적용해주어야 하며 모든 과정을 끝냈다면 자료들에 포맷이 표시가 될 것입니다.



여담으로 포맷을 바꾸기 위해 확장자가 보이도록 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이름만 바꾸면 호환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예컨대 이미지 포맷을 동영상 포맷으로 이름을 바꾼다고 해서 동영상이 되는 것은 아니죠. 그래서 포맷 변환은 적절한 절차를 알아두어야 하는데 다음에 기회가 되면 자세한 내용을 엮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