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PC와 관련해서 해박한 지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이진수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나 체계는 모릅니다. 하지만 32와 64에 따라서 내컴퓨터가 인식할수 있는 메모리의 사이즈가 달라지고 프로그램에 따라선 32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내컴퓨터 비트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죠. 물론 내컴퓨터가 32인지 64인지 빠르게 체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글을 쓰는 것이겠죠? 그러니 내컴퓨터의 이진수를 살펴보고 싶다면 아래에 엮은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내컴퓨터의 비트확인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탕화면의 좌측 하단에 있는 윈도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내컴퓨터의 '시스템(Y)'을 클릭하고 관련 창이 나타나면 종류의 옆에 있는 항목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그러면 32 또는 64가 적혀 있을 텐데 그 내용이 곧 내컴퓨터의 이진수를 의미합니다. 엄청나게 쉽죠?
여담으로 내컴퓨터 비트확인을 했을 때 32가 있는 분들에게 하나의 팁을 드리자면 보통 32는 4기가의 메모리를 인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막상 내컴퓨터에 4기가의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으면 32로는 4기가가모두 인식하지 못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내컴퓨터에 설치된 것이 32일 때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는 4기가가 맞지만 그래픽 카드와 같은 곳에서도 내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메모리가 할당되기 때문이죠.
조금 더 쉽게 얘기를 한다면 내컴퓨터에 4기가의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 분들이라면 64를 지원하는 운영 체제로 깔아주어야 4기가의 메모리가 모두 인식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컴퓨터의 이진수를 바꾸는 방법은 운영 체제를 다시 설치하는 것이죠. 물론 내컴퓨터의 이진수를 바꾸려 운영 체제까지 갈아타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지만 조금이라도 빠른 내컴퓨터를 원한다면 전환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아닐까 합니다.
각설하고 내컴퓨터 비트확인에 대한 얘기를 했는데 비트확인을 해보고 싶은 분들께서 참고할 수 있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내컴퓨터의 그래픽 카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다뤄볼 것을 약속하며 내컴퓨터 비트확인과 관련된 이번 글은 여기에서 끝을 내도록 하겠습니다!
'정보입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캔버스 한글판 사용 (0) | 2015.11.01 |
---|---|
삼성 kies 연결 오류 해결 (0) | 2015.10.30 |
팟플레이어 고화질 설정 해보세요! (0) | 2015.10.25 |
즐겨찾기 폴더 위치보기 (0) | 2015.10.23 |
pdf 파일 수정 정보 (0) | 2015.10.21 |